본문 바로가기

분류 전체보기143

역삼나이키직원매장 이번에 역삼에 있는 나이키직원매장아 갔다왔다. 정신없이 고르다보니 너무 많이 지른듯 신발이 탑처럼 쌓여있다. 원래는 40%할인이지만 누구 덕에 50%할인 받았다. 영수증 인증! 2019. 2. 10.
변수명 지어주는 사이트 변수명 지어주는 사이트 변수명 지정할 때 고생할 때가 많은데 참고하면 좋을 듯하다. https://www.curioustore.com/#!/ 2019. 1. 18.
GIT STASH STASH? (안전한 곳에) 넣어두다, 챙겨 둔 양의 사전적 의미 로컬에서 작업을 진행중에 PULL을 받았을 때 충돌이 발생하여 에러가 날 경우 사용한다. 실제 이클립스에서 살펴보자 원격저장소에는 TEST4가 추가된 상태이고 로컬저장소에는 TEST5가 추가된 상태이다. 이 상태에서 PULL을 받으면 충돌이 발생한다. 이때 로컬저장소에서 개발한 소스가 삭제하면 안되고 다시 가져다 붙이기엔 양이 많은 경우에 Stash를 활용한다. Team - Stashs - Stash Changes 선택 임시저장할 Stash의 이름을 지정하라는 팝업을 띄운다. 적당한 이름을 적은 후 OK 선택 Stash는 저장이 되고 개발하기 전 상태의 소스로 되돌아간다. Stash에는 저장이 된 상태이기때문에 걱정안해도 된다. 소스가 되.. 2018. 12. 18.
GIT RESET GIT에서 RESET에 대해 알아보자. RESET이란? 다시 맞춘다. 되돌아간다는 의미이다. 우리가 소스를 commit을 한 상태에서 다시 수정을 해야한다면 이전 커밋으로 돌아갈때 사용한다. 옵션에는 3가지가 있는데 hard/mixed/soft가 있다. RESET을 하는 접근방법에는 2가지가 있다. 방법 1 : 프로젝트에서 하는 방법 현재 커밋만 된 상태로 확인. Reset을 하기 위해 프로젝트 오른쪽 선택 후 Team - Reset 선택. Reset을 선택하면 팝업창이 나오는데 Reset type에 3가지 종류를 확인 할 수 있다. Reset 할 Remote Tracking의 origin/master 선택 및 Reset type을 Soft로 선택 Reset type을 Soft로 선택 했을 경우는 커밋파.. 2018. 12. 18.